백할의 음악공방
  • 전체 글
    • 음악 자료
      • 화성학
      • 리듬
      • 감상한 음악
      • 아티스트
      • 그 외
    • 끄적끄적

    음악 자료/리듬

    하프타임 필, 더블타임 필에 대해서

    이 글에서는 하프타임 필과 더블타임 필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곡 중간에 분위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그 리듬을 노래 전반에 걸쳐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더블타임 스윙 등의 장르의 경우에는 더블타임 필이 아닌, 실제로 더블타임ー실질 템포가 2배ー을 사용한다. 아래에서 하프타임 필과 더블타임 필의 개념과 차이, 그리고 분위기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위의 그림은 일반적인 드럼의 패턴이다. 1박마다 킥-스네어를 교차하여 연주하고 이를 커먼타임Common-time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킥-스네어-킥-스네어로 1마디가 되며, 이를 통해 곡의 템포를 가늠할 수 있다. 만약 여기에서 킥과 스네어를 '1박마다'가 아닌, '2박마다' 교차하여 연주하게 된다면 아래와 같이..

    2023.11.24

    음악 자료/리듬

    음악의 착시 현상, Metric Modulation

    Metric Modulation이란 메트릭 모듈레이션은 박자의 분할을 통하여 템포의 변화를 주는 것을 뜻한다. 2:3, 4:3 등 정수비의 템포 변화를 이끌어내어 유연하게 곡의 템포를 바꿀 수 있다. 템포는 곡에 있어서 분위기와 직결되는 요소이기에, 메트릭 모듈레이션은 분위기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에 있어 코드진행이나 악기 편성을 건드리는 것 외에도 고려할 수 있는 중요한 아이디어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메트릭 모듈레이션으로 어떻게 템포를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위의 파일은 BPM 120의 기본적인 드럼 패턴을 표현한 것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메트릭 모듈레이션을 통해 템포를 바꾸어볼 것이다. BPM 120 → BPM 90 (4:3) 한 박자를 셋잇단으로 쪼개어 12비트로 ..

    2023.11.18

    음악 자료/리듬

    스트레이트와 셔플, 그리고 스윙

    1

    음악의 3요소라 한다면 선율Melody, 화성Harmony, 그리고 율동Rhythm이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 요소들 중 하나인 리듬에 관하여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리듬에는 수많은 관련 정보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스트레이트, 셔플, 스윙일 것이다. 이 3가지의 리듬의 특징과 차이점에 관하여 짚어갈 것이다. 목차 스트레이트 리듬 셔플 리듬 스윙 리듬 리듬이 혼합 사용된 곡 스트레이트 리듬 스트레이트 리듬은 음악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리듬이다. 한 마디를 균등하게 음표 4개로 나누면 4비트, 8개로 나누면 8비트가 되는 식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의 킥, 스네어, 킥, 스네어로 1마디가 되며 많은 노래에서 주로 8비트가 쓰인다. 이는 커먼타임common time 기준으로, 더블타임과..

    2023.11.16

    음악 자료/리듬

    PPPH 리듬에 대하여

    PPPH 리듬이란 PPPH는 아이돌 라이브 등의 오타게(ヲタ芸)에서 쓰이는 콜이며, '팡 파팡 휘우-'의 줄임말이다. '팡 파팡(パン パパン)'은 박수를 표현하는 일본의 의성어이며, 한국어로는 '짝 짝짝' 정도로 볼 수 있겠다. 그리고 곡 중에서 이 콜을 유도하는 리듬이 바로 PPPH 리듬이다. 이 독특한 리듬은 주로 프리코러스에서 쓰이는 경향을 보인다. 그 기본형은 아래와 같다. 베이스 드럼은 박수의 리듬을 표현하며, 스네어 드럼은 '휘우-'하면서 한쪽 팔을 높게 들어올리는 타이밍을 표현한다. 듣는 이의 입장에서도 따라가기 쉬운 형태로, 청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작곡가의 센스가 보이는 리듬이다. 하지만 이 형태만을 사용하여 프리코러스를 채운다면 상당히 정적인 리듬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PPPH ..

    2023.11.04

1

Copyright 백도어 할게요 All rights reserved.

myoskin

티스토리툴바